문제 설명
비내림차순으로 정렬된 수열이 주어질 때,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부분 수열을 찾으려고 합니다.
기존 수열에서 임의의 두 인덱스의 원소와 그 사이의 원소를 모두 포함하는 부분 수열이어야 합니다.
부분 수열의 합은 k입니다.
합이 k인 부분 수열이 여러 개인 경우 길이가 짧은 수열을 찾습니다.
길이가 짧은 수열이 여러 개인 경우 앞쪽(시작 인덱스가 작은)에 나오는 수열을 찾습니다.
수열을 나타내는 정수 배열 sequence와 부분 수열의 합을 나타내는 정수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위 조건을 만족하는 부분 수열의 시작 인덱스와 마지막 인덱스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이때 수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
제한사항
5 ≤ sequence의 길이 ≤ 1,000,000
1 ≤ sequence의 원소 ≤ 1,000
sequence는 비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5 ≤ k ≤ 1,000,000,000
k는 항상 sequence의 부분 수열로 만들 수 있는 값입니다.
입출력 예
sequence k result
[1, 2, 3, 4, 5] 7 [2, 3]
[1, 1, 1, 2, 3, 4, 5] 5 [6, 6]
[2, 2, 2, 2, 2] 6 [0, 2]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1, 2, 3, 4, 5]에서 합이 7인 연속된 부분 수열은 [3, 4]뿐이므로 해당 수열의 시작 인덱스인 2와 마지막 인덱스 3을 배열에 담아 [2, 3]을 반환합니다.
입출력 예 #2
[1, 1, 1, 2, 3, 4, 5]에서 합이 5인 연속된 부분 수열은 [1, 1, 1, 2], [2, 3], [5]가 있습니다. 이 중 [5]의 길이가 제일 짧으므로 해당 수열의 시작 인덱스와 마지막 인덱스를 담은 [6, 6]을 반환합니다.
입출력 예 #3
[2, 2, 2, 2, 2]에서 합이 6인 연속된 부분 수열은 [2, 2, 2]로 3가지 경우가 있는데, 길이가 짧은 수열이 여러 개인 경우 앞쪽에 나온 수열을 찾으므로 [0, 2]를 반환합니다.
문제 풀이
queue에 숫자를 넣고,
queue 안의 숫자 합 sum에 더한다.
1. sum이 k 인 경우,
ㄴ sum을 초기화하고, q.pop 해줌, 해당 idx 저장.
ㄴ 시작 인덱스를 +1 해주고 다시 queue push 시작
2. sum이 k 이상인 경우
ㄴ queue의 합이 k보다 작거나 같아질 때 까지 pop 한다.
ㄴ 작아진 경우는 다음 인덱스로 진행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bool compare(const pair<int, int>& v1, const pair<int, int>& v2)
{
int length1 = v1.second - v1.first;
int length2 = v2.second - v2.first;
if (length1 != length2)
return length1 < length2;
return v1.first < v2.first;
}
vector<int> solution(vector<int> sequence, int k) {
vector<int> answer;
vector<pair<int, int>> vecIdx;
queue<int> q;
int sum = 0;
int sIdx = 0;
for (int i = 0; i < sequence.size(); i++)
{
q.push(sequence[i]);
sum += sequence[i];
if (sum == k)
{
sum -= q.front();
vecIdx.push_back(make_pair(sIdx, i));
q.pop();
sIdx++;
}
else if (sum > k)
{
while (true)
{
if (sum < k)
break;
else if (sum == k)
{
sum -= q.front();
vecIdx.push_back(make_pair(sIdx, i));
q.pop();
sIdx++;
break;
}
sum -= q.front();
q.pop();
sIdx++;
}
}
}
sort(vecIdx.begin(), vecIdx.end(), compare);
answer.push_back(vecIdx[0].first);
answer.push_back(vecIdx[0].second);
return answer;
}
개선 사항
- 근데 굳이 모든 정답 케이스를 vecIdx에 저장해서 sorting 해줄 필요 없고, 그때 그때 answer를 갱신해주면 된다.
- for문 안에 구문도 좀 더 명확히 코드 개선 진행
- 초기 answer 의 idx 값을 최대로 넣기 위해 answer[1]에 최대값 기입해줌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vector<int> solution(vector<int> sequence, int k) {
vector<int> answer(2);
answer[1] = 1000000;
queue<int> q;
int sum = 0;
int sIdx = 0;
for (int i = 0; i < sequence.size(); i++)
{
q.push(sequence[i]);
sum += sequence[i];
if (sum > k)
{
while (sum > k)
{
sum -= q.front();
q.pop();
sIdx++;
}
}
if (sum == k)
{
if (answer[1] - answer[0] > i - sIdx)
{
answer[0] = sIdx;
answer[1] = i;
}
sum -= q.front();
q.pop();
sIdx++;
}
}
return answer;
}
'게임 클라이언트 개발 > 알고리즘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전력망을 둘로 나누기(BFS, 완전탐색) (0) | 2025.02.06 |
---|---|
[2] 마법의 엘리베이터 (자리수 관련 문제) (0) | 2025.02.02 |
[2] 큰 수 만들기 (그리디, 순회 stack 이용) (0) | 2025.02.02 |
[2] 삼각 달팽이 (구현) (1) | 2025.01.31 |
[2] 소수 찾기 (재귀) (0) | 2025.01.24 |